유튜브 해외 채널 만드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이 글을 보시는 대부분의 99% 유튜버 분들은 한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시고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물론, 검색을 통해 이 글을 보고 계신 분이 계시면 해외 시청자 타켓을 노리는 유튜브 채널을 만들고 싶어하시는 분일 겁니다.
국가 설정을 한국이 아닌 다른 나라로 해야 할까요? 언어는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요? 여러가지 의문점이 드실 것입니다. 저는 현재 운영하는 채널 중 하나가 특정 국가를 타켓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아직 구독자는 4000명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그래도 여러분들에게 이런 유튜브 해외 채널을 운영하는 팁을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바로 아래에 여러가지 팁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여러분들이 불특정 다수의 해외 시청자를 타켓으로 한다면 저의 솔루션이 답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알려드리고자 하는 팁들은 모두 한 국가를 타켓으로 한 채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점을 참고하시면서 이 글을 읽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 거주 국가 설정을 해외로 할 필요 없이 한국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꼭 한국으로도 안 해도 되고 원하시는 국가로 설정하셔도 됩니다. 여기에서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어느 국가로 설정하셔도 크게 상관은 없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다만, 여러분들이 어떤 다른 국가로 선택했을 때 수익창출 신청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냥 한국으로 편하게 하셔도 됩니다. 유튜브 스튜디오에 들어가셔서 설정에 들어가 주십니다. 그리고 거주 국가 설정은 그냥 아래 대한민국으로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2. 제목과 내용과 콘텐츠를 모두 그 국가 사람들이 검색해볼만한 내용을 합니다.
이 부분이 가장 핵심입니다. 물론, 해외 타켓으로 하기 때문에 당연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제목을 영어로 하신다면, 검색어는 반드시 그 국가에서만 검색할만한 키워드로 제목을 설정하셔야 합니다. 캐나다를 타켓으로 만든 채널인데 미국사람이나 영국사람도 들어올법한 내용을 다루시면 안 됩니다. 이렇게 되면, 유튜브 알고리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 나라의 셀럽이나 유명 연예인을 키워드로 삼아서 콘텐츠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3. 하나의 강한 공감대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위에서 했던 이야기의 연장선상입니다. 그 나라 사람들이 관심 갖고 공감이 갈만한 소재를 찾아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그 국가의 연예인이나 유명한 사람을 소재로 삼은 것을 예로 들겠습니다. 이 경우, 여러분들이 그 분에 대해서 빠삭하게 알고 계셔야 할 것입니다. 또는 그 이슈나 콘텐츠가 그 나라 사람들만 공감가게 만드셔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 나라에 대한 공부를 하시는 것은 기본입니다.
4. 썸네일에 그 국가가 사용하는 언어를 넣어서 눈에 잘 띄게 만듭니다.
제가 타켓으로 했던 나라는 모국어가 영어가 아니었습니다. 제목은 영어로 짓긴 했지만, 썸네일이나 영상의 자막은 그 국가의 언어로 자막을 달았습니다. 당연히 해외 타켓으로 하시는 분들은 자막이나 이런 부분은 당연히 생각하시고 계셨을 것입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나라에 자막도 영어로 다시게 되면 연결점을 찾기 어려워질 것입니다.
앞으로 여러가지 해외 타켓 채널에 대해서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특히 여러분들이 궁금해하실 유튜브 알고리즘 탐색기능에 대해서도 제가 경험한 것을 모두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유튜브 알고리즘 탐색기능 공략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조회수 늘리기 위해 탐색기능 비율 높이는 방법! 썸네일을 공략합니다. (0) | 2021.04.05 |
---|---|
유튜브 조회수 수익 얼마나 될까요? 유튜브 RPM 및 CPM에 대해서 이야기 들려드립니다. (0) | 2021.04.02 |
유튜브 조회수 늘리는 방법 4가지 알려드립니다. 메타 데이터 공략입니다. (0) | 2021.03.30 |
유튜브 장비 살 때 가장 필요한 거 하나 추천드립니다. (0) | 2021.03.29 |
유튜브 노출 잘 되기 위해서 업로드 주기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요?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