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채널을 키우기 위해 오늘도 고군분투를 하고 계시는 초보 유튜버 분들에게 저의 노하우와 경험을 공유해오고 있습니다. 오늘 제가 설명 드릴 부분은 바로 유튜브의 본질을 파악하자는 주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생각지도 못했던 유튜브 채널 사례도 있어서 그것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유튜브라는 서비스가 처음 세상에 드러냈을 때는 사람들의 관심이 많이 없는 편이었습니다. 놀랍게도 필자가 2005년도에 처음으로 유튜브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때만 해도 저는 취미 생활을 열심히 하는 학생이었고 유튜브 영상을 통해 취미 관련 영상들을 몇 개 본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에 시청자가 아닌 창작자가 되겠다고 마음 먹었다면 지금 쯔음 되었을 때 어마어마한 인사이트를 몸서 체험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지금은 정말 많은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생겨났고, 같은 주제와 토픽 안에서 경쟁이 일어나기도 하고, 채널이 급격히 성장하기도 잘 안 되기도 합니다. 여기서 결국 유튜브가 원하는 상에 맞아 들어가면 해당 영상들과 채널들의 노출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검색어 유입이나 추천 동영상 유입이 아닌 "탐색기능"에 의한 것입니다.
즉 유튜브의 선택을 받은 영상들은 자동적으로 노출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했다가 줄어들게 됩니다. 여기에서 질문을 드리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유튜브 AI는 과연 긍정적인 영상과 부정적인 영상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까요?
명확하게 그렇다라고 따로 공식적으로 나온 것은 아니고 어렴풋이 유튜브 소속 직원이 영상으로 설명을 한 것을 들은 적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구분할 수 있다 라고 생각이 듭니다. 아주 간단하게 좋아요 대비 싫어요 갯수가 많게 되면 해당 영상은 무엇인가 시청자들이 불쾌함을 느끼거나 분노 및 혐오를 느꼈을 때 싫어요 버튼을 누를 수가 있습니다. AI 입장에서는 객관적으로 나온 이 좋아요 수와 싫어요 수를 판단해서 영상이 좋고 나쁘다는 것을 충분히 판단할 근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그동안 많은 케이스를 지켜 보면서 소위 말하는 긍정 영상(동기부여 영상, 교육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기분 좋게 웃긴 영상 등)과 부정 영상(다소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콘텐츠, 불쾌감을 조성하는 이슈 등) 둘 다 유튜브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은 경우를 본 적 있습니다. 긍정 영상이야 당연히 노출도를 증가시켜 주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겠지만 부정영상도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은 경우도 정말 많이 보게 되었습니다. 생각 보다 많이 보았습니다.
이 것을 보면서 제가 스스로 깨달은 부분은 "긍정 영상"이 되었든 "부정 영상"이 되었든 결국 시청자들을 유튜브라는 플랫폼 안에 오래 묶을 수 있어줄 수 있는 영상을 적극 밀어줄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부정 영상"도 적절히 활용을 하면 노출도 상승과 더불어 채널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시청자를 오래 유튜브에 머물게 한다는 것은 영상을 한순간도 놓치지 않고 본다는 것이고, 이는 해당 유튜브 영상의 "시청 지속 시간"이 길어짐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싫어요 수가 좋아요 수 보다 많을 지언정 위에서 언급한 핵심 포인트는 바로 "시청 지속 시간"으로 생각을 집결시키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이 시청지속시간에 대한 것을 친절하게도 유튜브 크리에이터 스튜디오 앱에서 도달범위 탭에서도 이 시청지속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동료 유튜버들도 그렇고 저도 입을 모아 말하는 점은 영상을 길게 만들면서도 시청지속시간이 많이 나오게 기획하는 것이 좋다라는 생각을 서로 나누기도 합니다.
이 시청지속시간은 유튜브 알고리즘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앞으로 차차 여러 개의 시리즈 물로 이 유튜브 알고리즘 탐색기능에 대해서 여러분들에게 예시도 들어가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여러분의 큰 응원 부탁 드립니다. 공감 버튼 눌러주시면 감사드리고 댓글도 달아주셔도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유튜브 알고리즘 탐색기능 공략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촬영 팁 알려 드리면서 촬영 유형에 대해서도 알려 드립니다. 이 중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0) | 2021.02.22 |
---|---|
유튜브 콘텐츠 소재 구체화 작업을 통한 초보 유튜버가 오래 유튜브를 운영할 수 있는 전략 알려 드립니다. (0) | 2021.02.22 |
유튜브 브이로그 콘텐츠 키우는 방법 알려 드립니다. 초보 브이로그 유튜버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0) | 2021.02.21 |
유튜브 콘텐츠 소재 아이디어 중 브이로그 비추천합니다. 4가지 이유 설명 드리겠습니다. (0) | 2021.02.20 |
유튜브 콘텐츠 아이디어 최소 N+1개를 매주 생각을 해야 지속가능한 유튜브 운영 가능합니다. (0) | 2021.02.20 |